
728x90
반응형
SMALL
목재를 가공할 때 먹매김, 마름질, 바심질 단계를 거친다.
이는 원하는 형태와 크기로 정확하게 만들기 위함인데 최종 제품으로 완성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들이다.
1. 먹매김
1) 먹매김이란?
- 목재를 가공하기 위한 가장 첫 번쨰 단계이다. 작업할 부위에 검은색 잉크의 먹이나 연필을 사용해서 가공선을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.
- 재단 선을 그리는데 정확한 치수를 측정해서 그려야 한다. 먹매김이 잘못되었을 경우 가공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.
2) 목적
- 목재를 절단하거나 가공할 때 정확한 기준선을 표시하여 오차를 줄이는 데 목적을 둔다.
- 절단된 목재가 서로 맞물릴 시 정확하게 맞도록 미리 준비하여야 한다.
3) 작업 방법
- 목재의 위치와 재단 방향을 확인한 다음, 가공할 선을 표시하는 데 작업 도면을 참고하도록 한다.
- 연필이나 먹으로 선을 긋는다. 홈을 파거나 구멍 등이 필요한 중요한 부분은 기호로 표시한다.
- 다시 한번 더 확인하여 절단 및 가공 전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점검한다.
2. 마름질
1) 마름질이란?
- 목재를 대패나 톱 등을 이용해서 먹매김 한 선을 기준으로 자르고 다듬는 과정을 말한다. 거친 가공 즉 거친 절단을 의미하는데 이후 바심질로 정밀 가공된다.
2) 목적
- 목재 가공을 위한 기본 형태를 필요한 형태와 크기로 절단한다.
-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해서 가공 시간을 단축하기 위함이다.
3) 작업 방법
- 목재에 먹매김 한 선을 따라 절단한다. 필요에 따라 톱질을 여러 번 하여 정확도를 높이도록 한다.
- 끌을 이용하여 홈이 필요한 경우나 각진 부분을 가공한다.
- 표면을 다듬을 때는 대패질을 통해 매끄럽게 정리한다.
3. 바심질
1) 바심질이란?
- 마름질 공정이 끝난 이후 더 세밀하고 정밀한 형태로 가공하는 것을 말한다.
- 조립을 위해 서로 간의 결합이 잘 맞도록 미세하게 수정 작업을 진행한다.
2) 목적
- 목재를 가공함에 최종 정리 단계이다. 표면 마감과 치수 정확도로 품질을 높인다.
- 정밀한 조정과 마무리 작업을 통해 조립 시 맞물림을 정확하게 하기 위함이다.
3) 작업 방법
- 마름질이 끝났다면 목재의 치수를 확인 후 필요한 부분은 미세하게 조정하도록 한다.
- 결합부나 홈 등의 조립 부위를 미세한 절삭을 통해 맞춰간다.
- 사포질과 마감처리를 통해 매끄러운 표면을 만든다.
정보가 도움 되었다면 공감♥ 부탁해요!
728x90
반응형
LIST